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치기현 제4구

덤프버전 :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치기현 제4구
栃木県第4区
||
파일:shuinsen_Tochigi4.svg
선거인 수357,326명 (2022)
상위 도도부현도치기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사토 쓰토무




1. 개요[편집]


도치기현의 남부 지역인 오야마시, 모오카시, 시모츠케시, 하가군, 시모츠가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사토 쓰토무.


2. 상세[편집]


전체적으로 자민당이 우세한 지역구다. 그나마 2012년 이전에는, 민주당 소속이던 야마오카 겐지 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이[1] 석패율 제도를 통해 몇 번 당선되었고 2009년 제 45회 총선에서는 13년만에 지역구 의원으로 당선되기도 했다. 하지만 2012년부터 자민당이 압도한 3번의 총선에서는 자민당 사토 쓰토무 후보가 압승했고 석패율로 당선된 야당 후보도 나오지 않았다.

이후 2021년 제49회 총선에서는 입헌민주당 후지오카 다카오 후보가 초박빙 승부를 벌이며 2.2% 차이로 접전패했다. 향후 자민당 우세 지역구에서 접전 지역구로 변화할 가능성도 생겼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17,851표1위


53.33%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야마오카 겐지83,383표2위


37.7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오키 히로시14,899표3위


6.74%낙선
이리노 마사아키4,848표4위

무소속

2.19%낙선
유효표 수220,981표투표율
61.53%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15,284표1위


48.81%당선
파일:자유당.gif야마오카 겐지65,860표2위


27.89%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이 유타카42,503표3위


18.0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즈카 마사12,522표4위


5.30%낙선
유효표 수236,169표투표율
63.44%
선거인 수381,796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25,031표1위


52.7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오카 겐지104,159표2위


43.9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자키 도시히코7,822표3위


3.30%낙선
유효표 수232,512표투표율
62.04%
선거인 수389,745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40,304표1위


54.2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오카 겐지108,473표2위


41.93%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자키 도시히코9,900표3위


3.83%낙선
유효표 수258,677표투표율
66.87%
선거인 수394,394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오카 겐지139,878표1위


51.4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09,287표2위
[2]40.20%비례당선
우에타케 데츠야20,176표3위
7.4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세키자와 도모히로2,505표4위
0.92%낙선
유효표 수271,846표투표율
69.16%
선거인 수399,612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09,762표1위
[3]51.13%당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후지오카 다카오49,021표2위
22.83%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야마오카 겐지26,310표3위
12.2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구도 히토미22,546표4위
10.5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소토메 도시지7,053표5위
3.29%낙선
유효표 수214,692표투표율
55.13%
선거인 수399,474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시모츠케시 일부, 도치기시 일부,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14,328표1위
[4]59.1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지오카 다카오62,251표2위
32.2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자키 도시히코16,773표3위
8.67%낙선
유효표 수193,352표투표율
49.94%
선거인 수398,881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시모츠케시 일부, 도치기시 일부,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11,167표1위
[5]54.44%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후지오카 다카오76,294표2위
[6]37.3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자키 도시히코16,741표3위
8.20%낙선
유효표 수204,202표투표율
51.58%
선거인 수406,035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치기현 제4구
오야마시, 모오카시, 시모츠케시 일부, 도치기시 일부,
하가군, 시모츠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쓰토무111,863표1위
[7]51.10%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후지오카 다카오107,043표2위
48.90%비례당선
유효표 수218,906표투표율
55.37%
선거인 수402,456인

현역 자민당 사토 쓰토무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했었던 후지오카 다카오 후보가 야권통합 과정에서 입당한 뒤 출마를 준비중이다. 금융청에서 근무했고, 국회의원 비서를 지냈다.

후지오카 후보는 이번이 벌써 4번째 도전이다. 그래도 매번 출마할때마다 사토 의원과의 격차를 줄였으며, 지난 3번의 총선과는 달리 공산당이 후보를 공천하지 않으며 사실상 후지오카로 야권 단일화가 되었다. 아직도 지역구 당선은 무리라는 평가가 많지만, 석패율 제도를 통해 처음으로 국회에 입성할 가능성이 과거 선거보다는 꽤 높다.

다른 야당 및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으며 자민당과 입헌민주당의 1대1 대결이 되었다.

투표 결과, 자민당 사토 후보가 이겼으나 꽤 접전이었다. 입헌민주당 후지오카 후보는 지역구에서 다시 한 번 패했지만 2.2% 차이로 박빙 승부를 벌이는 바람에 처음으로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로 당선, 초선 의원이 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 곳에서 관할하던 도치기시 지역을 모두 5구에 넘기고, 1구에서 관할하던 시모츠케시 동부 지역을 받아오면서 경계 분할을 해소했다.

10선에 도전하는 자민당 사토 쓰토무 의원과 재선에 도전하는 입헌민주당 후지오카 다카오 의원의 재대결이 예상된다. 지난 총선에서 2.2%까지 표차가 좁혀졌는데, 후지오카 의원이 이번에는 드디어 지역구 승리에 성공할지가 주목된다.

[1] 이 사람도 자민당 출신이다.[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6] 도치기현 총지부 추천[7] 추천